티스토리 뷰
목차
이재명 후보의 거북섬 웨이브파크 유치와 관련한 논란이 21대 대선의 핵심 이슈로 떠올랐습니다. 개발 추진 배경, 웨이브파크 유치 과정, 심각한 상가 공실률과 지역경제 파장, 그리고 정치권의 공방과 법적 대응까지, 거북섬 논란의 모든 쟁점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이재명 거북섬 개발 추진 배경
경기도 시흥시의 거북섬은 시화 MTV(멀티테크노밸리) 내에 위치한 인공섬으로, 원래부터 해양관광과 레저산업을 중심으로 한 복합 개발을 목표로 추진되었습니다. 2010년대 중반부터 경기도, 시흥시,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협력해 해양레저 관광지로 특화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2017년에는 3개 기관이 공식 업무협약(MOU)을 체결해, 부지 공급, 인허가, 기업유치 마케팅 등에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시흥시는 해양관광 레저스포츠 산업을 집중적으로 유치해 아시아 대표 해양레저 관광지로 자리매김하겠다는 비전을 내세웠습니다. 관상어유통단지, 해양생태과학관 등 다양한 프로젝트와 함께 거북섬 일원을 세계적 수준의 해양레저스포츠 메카로 만들겠다는 계획이 추진되었습니다.
거북섬 웨이브파크 논란의 구체적인 피해 사례와 상가 공실률, 그리고 대선 정국에서의 각 진영 입장이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을 클릭해 ‘이재명 거북섬 공실률 논란과 대선 쟁점’ 페이지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보세요.
웨이브파크 유치 과정
이재명 후보는 경기도지사 시절 거북섬에 관광객을 끌만한 요소가 부족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를 타개하기 위해 대규모 인공서핑장인 웨이브파크 유치에 적극 나섰습니다.
이 후보는 '인허가와 건축 완공까지 2년밖에 걸리지 않았다'며 신속한 행정처리와 적극적인 기업 유치 노력을 치적으로 강조했습니다. 실제로 웨이브파크 유치는 당시 부산 기장군에서 인허가가 지연된다는 소문을 듣고, 시흥시와 협력해 '경기 거북섬으로 오면 우리가 다 알아서 해주겠다'고 설득해 성사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웨이브파크 유치로 인해 상가 분양이 어느 정도 이뤄졌고, 대규모 투자 유치와 함께 지역 홍보 효과도 기대됐습니다. 하지만 인공서핑장이라는 특성상 계절적 한계와 지역 내 인프라 부족 문제도 동시에 제기되었습니다.
공실률과 지역경제 영향
웨이브파크 유치에도 불구하고 거북섬 상업지구는 심각한 공실률과 상권 침체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2023년 11월 기준, 거북섬 상업·업무용지 내 점포 3,253개 중 실제 입점은 429개에 불과해 입점률이 13%에 그쳤습니다. 이는 공실률이 87%에 달한다는 의미로, 10곳 중 8~9곳이 비어 있는 셈입니다.
상가 공실률이 높은 이유로는 과도한 상업시설 공급, 주거인구 대비 상업용지 비중의 불균형, 높은 분양가와 임대료, 접근성 부족 등이 꼽힙니다. 웨이브파크 자체는 여름철에만 이용객이 몰려 일시적으로 상권이 활성화되지만, 연중 지속적인 유동인구 확보에는 실패했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실제 상가 분양에 참여했던 자영업자와 임차인들은 '국책사업이라 믿고 들어왔는데 현실은 홍보와 달랐다'며 피해를 호소하고 있습니다. 유령상가, 폐업 증가, 낮은 업종 다양성 등도 지역경제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발언논란 정치권 공방과 법적 대응
거북섬과 웨이브파크 논란은 대선 정국에서 여야 간 첨예한 공방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재명 후보는 웨이브파크 유치를 자신의 대표적 성과로 내세우고 있지만, 국민의힘과 개혁신당 등 야권은 '공실률 87%에 달하는 실패한 사업을 치적으로 내세운다'며 강하게 비판하고 있습니다.
야권은 거북섬 개발이 '이재명표 행정의 초대형 실패작'이라고 주장하며, 피해 상인들의 고통과 지역경제 침체를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거북섬 사업은 박근혜 정부와 남경필 전 경기지사 시절 국가 주도 사업으로 시작됐으며, 이재명 후보는 민간 투자 유치에 기여했을 뿐 상업시설 분양이나 운영에는 직접 관여하지 않았다'고 반박합니다.
또한 민주당은 허위사실 공표 혐의로 야권 인사들을 고발하겠다고 밝혔으며, 실제로 2023년 경찰 수사에서 이 후보와 관련된 특혜·비리 의혹은 무혐의 처분을 받았습니다. 정치권 공방이 이어지는 가운데, 웨이브파크 유치의 실질적 성과와 한계, 거북섬 상권의 구조적 문제, 그리고 정책 책임 소재에 대한 논쟁은 계속될 전망입니다.
거북섬 웨이브파크 논란은 단순한 지역 개발사업을 넘어, 대선 후보의 정책 능력과 지역경제 활성화 전략, 정치적 책임 소재를 둘러싼 상징적 이슈로 자리 잡았습니다. 향후 거북섬의 실질적 활성화와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근본적 해법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이번 논란은 유권자와 정책 입안자 모두에게 중요한 교훈을 남기고 있습니다.
거북섬 웨이브파크 논란의 구체적인 피해 사례와 상가 공실률, 그리고 대선 정국에서의 각 진영 입장이 궁금하다면, ‘이재명 거북섬 공실률 논란과 대선 쟁점’ 다음 페이지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보세요.